자료 모으기

알레고리 장치하기

법정 2010. 7. 6. 22:59

 

^^ 알레고리 장치하기  +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+++++++++++++

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=+++

      알레고리 -알레고리는 문장의 서술론 에서 주로 이야기되고 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현대 소설에서는 주제를 설정하기 위해 알레고리 장치를 하기도한다.

알레고리 ( allegory ) = 다른것을 말함 =풍유또는 우유

  알레고리는 “확장된 비유” 라 칭할수있다.

 -표면적으로는 인물과 행위와 배경등 통상적인 이야기의 요소들을

  다 갖추고있는 이야기인 동시에 그 이야기의 배후에 정신적 도덕적

  또는 역사적 의미가 전개되는 뚜렷한 이중 구조를 갖은 작품

 -구체적인 심상의 전개와 동시에 추상적 의미의 층이  그배후에 동반 되는것이

   의식되도록 만들어진 작품이 “알레고리” 인것이다.

 * 한용환 소설학 사전  - “다르게 말한다” 그리스의 allegoria 라는 말에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나온 것으로 이중적 의미를 가진 유형을 지칭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표면적인 의미와 이면적인 의미를 가지는 이야기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유형

* 2가지 수준,3가지수준,4가지수준..에서 익히고 이해되며 해석 될수있는 이야기


  - 일반적인  “알레고리” 기법

     인물이나 장소들은 작가에 의해 창안된 임의적인 존재성을 지니도록 구성한다.

     이것은 “알레고리”를 실질적인 존재성을 지니는 상징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구별케하는 뚜렷한 특징 이다


    * 상징이나 풍자의 수법 필요성  - 1.색다르고 특별한 효과를 위해

        (알레고리 기법)               2.억지논리를 합리화 하기 위해

      --- 카프카의 “변신” 이란 소설에서 사람이 벌레로 변한다는 비정상적인

          억지논리를 정상적 논리로 구성하여 정상논리를 초월한 억지논리로 전개

          즉 “알레고리 기법 으로 합리화” 한다.  소외되고 단절된 인간의 실존을

          한 마리 별레로 상징, 암시하는것.

      --- 넌지시 빗대거나 상징적으로 말하는 수준높은 비꼬기와 풍자로 말할 때

          “알레고리 기법 ” 을 쓴다.  

        * 채만식의 “태평천하”

         * 단테의  “신곡” - 복잡 다양한 정신의 편력을 주로 다루고 있다.

        * 오웰 “ 동물동장” -독재정치에 대한 현대 최대 풍자적 알레고리

       * 김만중 “구운몽” - 불교및 도교의 알레고리적 요소 포함

       *  중국소설 “손오공” -단순한 원숭이 이여기를 넘어서서

          불교의 인생 행로를 말하는 알레고리 라 볼수 있다.

       * 99년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품 “레고로 지은집” 에서는

          속주제를 설정하기 위해서 3개의 알레고리 장치를 했다.

           1. 복사기에 자신의 얼굴을 복사한것은  - 자아 확인의 알레고리

           2. 장애자인 오빠가 끊임없이 집을 짓는것은 -완전한 가정의 복원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꿈꾸는 알레고리 이고

           3. 굴뚝에 빠진 새끼 고양이는- 자식을 버린 어머니와 주인공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절망적인 알레고리 이다

       * 그 외의 알레고리

         김승옥의 “무진기행” - 안개

         이호철의 “닳아지는 살들”- 꽈당꽈당 울리는 망치소리

         장용학의 “요한시집” - 첫 머리에 나오는 토끼 이야기 등



'자료 모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소재와 주제는 다르다  (0) 2010.07.06
동기의 구체화 (소재를통해서 주제를)  (0) 2010.07.06
주제 들여내기란 ?  (0) 2010.07.06
플릇이란?  (0) 2010.07.06
소설문장의 문체는?  (0) 2010.07.06